기재부, '최근 경제동향' 3월호…"내수회복 속도 완만·수출 부진"
최근 한국 경제의 경기둔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는 정부의 진단이 나왔다. '경기둔화' 진단은 지난달 처음 언급된 이후 두 달째다.
물가 상승세는 둔화했지만 내수회복 속도가 더디고 수출 부진 등이 이어지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17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3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 상승세가 다소 둔화하는 가운데, 내수회복 속도가 완만해지고 수출 부진 및 제조업 기업심리 위축 등 경기둔화 흐름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대외적으로는 중국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통화 긴축에 따른 취약부문 금융불안과 러-우크라 전쟁 장기화 우려 등 하방위험이 교차하며 세계경제 불확실성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지난해 6월부터 그린북을 통해 '경기둔화 우려'를 이어왔다. 지난달 그린북에서는 '우려' 표현을 빼면서 경기 둔화를 기정사실로 했다.
주요 지표를 보면 2월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5% 감소한 501억1000만 달러였다. 지난 1월(16.4%) 대비 감소 폭은 둔화했다.
15대 주요 수출 품목 중 자동차(47%), 이차전지(25%), 차부품(13%), 일반기계(13%), 석유제품(12%) 등 6개 품목만 증가하고 9개 품목은 감소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2억8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5.9% 감소했다.
1월 경상수지는 상품수지가 크게 악화하고 서비스수지도 하락하면서 45억2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상품수지는 무역적자 확대 등으로 크게 악화해 74억6000만 달러 적자를, 서비스수지는 여행수지 적자 확대, 운송수지 흑자 축소 등으로 32억7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반면 해외자회사 등 배당금 수취가 가세하며 소득(본원+이전)수지 흑자가 대폭 확대됐다. 본원소득수지는 63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고 이전소득수지는 1억6000만 달러로 적자 폭을 줄였다. 기재부는 2월 경상수지는 무역적자 축소 등을 감안 시 전월 대비 개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1월 전(全)산업 생산은 전월보다 0.5% 증가했다. 광공업 생산(2.9%), 건설업(1.8%), 서비스업 생산(0.1%)이 증가했고, 공공행정(-5.9%)은 감소했다. 서비스업생산지수는 전월보다 0.4% 증가했으나 광공업생산지수(-0.3%), 소매판매액지수(-1.5%) 등은 감소했다.
2월 서비스업의 경우, 온라인 매출액은 11.6% 늘었다. 일평균 주식거래대금은 17조7000억원으로 전월보다 4조6000억원 증가했다.
고속도로 통행량은 전년보다 1.9% 줄었고, 차량 연료 판매량은 5.0% 감소했다. 소상공인 체감경기지수는 56.2p로 전월보다 3.6p 감소했다.
소비자심리지수(CSI)는 90.2로 전월(90.7)보다 0.5p 떨어졌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69로 전월과 같았고, 3월 전망은 3p 상승한 71을 기록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그 미만이면 과거 평균적인 경기상황보다 좋지 않다는 뜻이다. 기업경기실사지수는 기업체가 느끼는 체감경기로, 100 미만이면 경기악화를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다.
2월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만2000명 늘었고 실업률은 3.1%로 전년보다 0.3%p 하락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 하락, 축산물 할인행사에 따른 농축수산물 가격 안정세 등으로 상승 폭이 축소되면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8% 상승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4.8% 올랐다.
2월 금융시장은 주요국의 통화 긴축이 강화될 우려 등으로 코스피 지수는 하락했고, 코스닥 지수는 중국경기 회복 기대 등으로 상승했다. 미국의 고용 등 경제 지표 호조에 따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장기화 우려 심화 등으로 원·달러 환율과 국고채 금리는 상승했다.
기재부는 "물가·민생안정 기반을 굳건히 하고, 대내외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수출·투자 등 경제활력 제고와 3대 개혁, 에너지 효율 향상 등 경제체질 개선에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제 / 조봉식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