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만에 또 다시 멈춰선 목포 시내버스, 해법 없나

노조-회사, 체임 해결·내년도 임금 인상 등 두고 대립
시 '목포형 준공영제' 도입 검토…내년 1월까지 용역
"지자체 사례 면밀히 검토해 합리적 방안 모색해야"

목포시내버스가 2년 만에 또 다시 멈춰서면서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목포시내버스의 운행 중단 위기는 회사 측의 경영난을 이유로 반복되고 있다.

목포시내버스 태원여객·유진운수 노조는 18일 오전 5시부터 임금인상과 근무여건 개선 등을 요구하며 전면적인 운행 중단에 들어갔다. 지난 2020년 2월에 이어 2년 만이다.



노조 측은 체불임금 해결과 내년도 임금 7.4% 인상, 한 달 만근일수가 기존 13일에서 12일로 단축된 데 대한 보상금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이날 오전 파업 출정식에서 "목포시와 시의회가 나서 경영권을 인계받아 노동자들의 생활안정을 보장해 줄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13일이 만근임에도 10~11일만 근무하고 임금도 매달 50~60%만 받으면서 은행 대출로 버티며 살아왔다"면서 "현재 지원되고 있는 재정지원금, 손실보존금 등 다양한 지원을 노동자의 임금을 먼저 최우선으로 보장해 달라"고 주장했다.

반면, 회사 측은 코로나19 여파로 시내버스 이용객 급감과 러시아 사태 등 대외적인 요인에 따른 가스비 대폭 상승 등으로 재정적자가 심각하다는 이유를 들어 임금동결로 맞서고 있다.

문제는 노조의 파업이 시내버스가 '공공재'라는 이유로 책임이 목포시로 전가되고 있다는 점이다. 노조는 파업은 강행하고, 회사 측의 사실상 방관 속에서 목포시가 재정지원을 통해 순간을 모면하고 있는 형국이다.

목포시는 지난해 102억원에 이어 올해에도 110억원이 넘는 재정을 시내버스 회사 측에 지원하고 있다.

올해의 경우 적자노선 지원과 공공강화 지원, 특별재정지원금 등 재정지원금 86억1300만원과 저상버스와 카드할인·환승보전, 100원 버스사업, 교통카드 수수료 등의 명목으로 84억9000만원 등 모두 118억1000만원을 지원한다.

재원지원금 86억1300만원 중 52억원은 이미 집행했으며, 나머지 금액은 3회 추경을 통해 33억여원을 확보했다.


1년에 100억원이 넘는 주민혈세를 지원하는데도 시내버스 운영에 대한 개선의 여지는 없다.

목포시내버스 노조는 2020년 2월에도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갔다. 당시에도 목포시에서 임금인상분 13억3000만원의 지원을 약속하면서 파업 하루 만에 정상 복귀했다.

2021년 5월에는 회사 측이 1년 간 휴업을 신청해 지역사회에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다. 회사 측은 그동안 대표이사의 가수금이 94억여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매년 적자가 누적돼 운영에 어려움이 많다는 주장이다. 우여곡절 끝에 휴업 신청은 철회됐지만 대중교통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모색이 요구됐다.

목포시는 이후 시내버스공론화 위원회를 구성해 대안 마련에 나섰고, 공론화위원회에서는 '목포형 준공영제' 도입을 권고했다.

목포형 준공영제는 운송업체의 경영개선 방안으로 등하교·출퇴근 시간대 등 배차간격 조정을 위한 개선 명령, 감차, 차량 크기의 적정화 등을 담고 있다.

또 교통전문인력 채용과 버스재정심의위원회 전문성 강화, 현금수입 확인제 운영 등을 통한 관리감독을 강화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목포시는 현재 '시내버스 노선 체계 전면개편 및 준공영제 실행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며, 내년 1월 최종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다.

이형환 목포시의회 의원은 "목포시내버스는 전체 23개 노선 중 20개 노선이 적자를 보고 있어 문제 해결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준공영제가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수년이 소요된다. 먼저 준공영제를 도입해 시행하고 있는 지자체의 사례를 면밀히 검토해 합리적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안.목포 / 이덕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