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의 날' 앞두고 그린피스·안동대 보고서 발표
기후변화·밀원 감소로 꿀벌 생존 위협 받아
"총리 산하 '벌 살리기 위원회' 설립" 제안도
꿀벌의 집단폐사를 막으려면 벌을 위한 꽃·나무밭을 여의도 면적의 1000배가 넘는 30만㏊(헥타르) 규모로 확보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계 벌의 날'을 이틀 앞둔 18일 환경단체 그린피스와 안동대 산학협력단은 '벌의 위기와 보호정책 제안'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에서 2000년대 중반 시작된 '꿀벌군집붕괴현상'(CCD)은 지금 한국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한국양봉협회는 지난달 기준 협회 소속 농가 벌통 153만7000여개 중 약 61%에 해당하는 94만4000여개에서 꿀벌이 폐사한 것으로 추산한다. 통상 벌통 1개에 꿀벌 1만5000천~2만마리가 사는 것을 고려하면 141억6000~188억8000마리의 꿀벌이 죽은 것이다.
작년 같은 기간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 78억마리(39만여봉군)가 월동 중 폐사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즉, 꿀벌 집단폐사 규모가 커지고 있는 셈이다.
꿀벌 집단폐사 원인에 대해 그린피스와 안동대는 "모든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했다.
대표적 요인 중 하나가 바로 기후변화다.
보고서는 "지구 온도가 200여년 만에 1.09도 오르면서 벌이 동면에서 깨기 전 꽃이 피었다가 지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겨울철 온난화와 이상기상현상 증가는 월동기 꿀벌에 치명적일 수 있다"며 재작년 10월과 12월 이상기상으로 꿀벌이 제대로 월동에 들어가지 못했다고 부연했다.
국내에선 꿀벌에게 꽃가루와 꿀 등의 먹이를 주는 '밀원'이 급격히 줄어든 것도 꿀벌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양봉산업법상 밀원식물은 매실나무와 동백나무 등 목본 25종과 유채와 해바라기 등 초본 15종이다.
보고서가 제시한 국립산림과학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밀원은 2020년 기준 14만6000㏊로 1970~80년대 47만8000㏊보다 약 33만㏊ 감소했다. 제주도의 1.8배, 여의도의 1145배 면적의 밀원이 사라진 것이다.
한국의 벌꿀 사육밀도는 1㎢당 21.8봉군으로 미국의 80배에 달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인 만큼, 원래도 치열하게 먹이경쟁을 벌여야 했던 한국 꿀벌들이 더 힘든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이다.
보고서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원을 30만㏊는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밀원 확보를 위해서는 ▲국유림과 공유림의 적극적 활용 ▲'밀원직불제' 도입 검토 ▲국무총리 산하 '벌 살리기 위원회' 설립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회부 차장 / 곽상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