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 갈등 악화일로' 꿈쩍않는 전남대·조선대병원 전공의

복귀시한·연휴 지나 집단이탈 열흘 넘게 이어져
전임의·인턴마저 떠나, 수술·병상 가동률 30% 감소

정부가 의대 정원 증원안에 반발하며 집단 이탈한 전공의들에게 최후 통보한 복귀 시한 이후 현재까지 광주·전남 주요 대학병원 일선 전공의들이 끝내 돌아오지 않았다.

4일 의료계에 따르면, 정부가 이탈 전공의들에게 책임을 묻지 않겠다며 복귀 시한으로 못 박은 지난달 29일과 마찬가지로, 전남대병원과 조선대병원에서는 대다수 전공의들이 정상 근무하지 않고 있다.



전남대병원 본·분원에 근무하는 전공의 319명 중 278명이 사직서를 제출했으며, 200명 가량이 정상 근무하지 않고 있다.

이들 중 본원 내 업무 복귀명령 불이행 전공의 112명은 이날 오전도 출근하지 않았다. 분원인 화순전남대병원에서도 전공의 90명 중 업무복귀 명령에 따르지 않은 대다수가 아직 출근하지 않고 있다.

조선대병원은 전공의 142명 중 복귀명령 불이행 대상자 106명 모두 이날까지 근무하지 않고 있다.

2차 병원인 광주기독병원도 사직 의사를 전한 전공의 31명 중 30명도 이날 오전 출근하지 않았다.

정부가 정한 복귀 시한 안에 돌아온 전공의들은 각 병원 별로 한 자릿수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일부터 시작된 전공의 집단 이탈이 열흘 넘게 이어지는 상황에서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전임의들마저 속속 병원을 떠나고 있다.

전공의들의 빈 자리를 메우는 핵심 인력 중 하나인 전임의들도 수련 중단, 개업 등을 이유로 재임용을 포기했다. 전공의 과정을 마치고 숙련도가 높은 전임의는 전공의 집단 이탈 이후 비상진료 체계의 일선을 지탱해 온 핵심 인력이다.

전남대병원 내 이달부터 신규 충원된 전임의 52명 중 21명이 계약을 포기했다. 조선대병원도 전임의 임용 예정자 12명이 채용을 포기했다. 병원마다 사정은 다르지만, 현장 인력이 정원을 크게 밑돌면서 전임의 인력난마저 가중되는 모양새다.

대학병원에서 수련하며 부족한 일손을 보탤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인턴들도 대거 임용을 포기했다. 전남대병원에 이달부터 일하기로 한 인턴 101명 중 86명(85%)이 임용을 포기했다. 조선대병원에서도 신입 인턴 36명이 모두 계약을 포기했다.


정부는 복귀 시한(2월 29일)과 3·1절 연휴가 끝나 공식 업무가 시작된 이날부터 '엄정 대응'키로 했다.

이에 따라 행정 처분과 고발장 접수, 수사 국면으로 접어든다. 이날 중 전남대병원·조선대병원에도 보건복지부 현장점검반이 다시 투입돼 전공의 복귀 현황 등을 최종 확인한다. 업무 복귀 명령 공시 송달에 이어, 행정 조치·법적 대응 직전 사실상 마지막 경고로 풀이된다.

이날까지 끝내 전공의들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정부와 의사단체간 강대강 대치는 장기화되며, 병원은 비상 진료 체계 운영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다.

실제 광주 한 대학병원에서는 지난 일주일 새 수술실·병상 가동률이 지난해 평균보다 각기 30%씩 감소했다. 외래 진료 환자 역시 지난해 대비 15%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한 병원 관계자는 "비상 진료 체계 운영이 열흘을 넘긴 상황에서 위기설이 돌았던 3월을 맞았지만 정부-의사단체간 대화는 실종됐다. 환자 불편은 커지고 병원을 지키는 의료진의 피로도만 누적되고 있다"면서 "수술 일정 축소와 잦은 전원 조치에 2차 병원이 얼마나 버텨줄 지 의문이다. 지역 의료체계 전반이 위태로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성.영광 / 나권식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