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실 용머리 기와 유물, 왜 태안 갯벌서 나왔을까?

문화재청, 충남 태안 청포대 갯벌 출토 유물 공개
"서울 용산서 지방 가던 난파선에 실린 듯...수중 탐사 진행 예정"

 충남 태안 갯벌에서 조선 전기 왕실 건축물에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용머리 장식기와(취두) 완전체가 출토됐다. 조선시대 왕실 관련 마루장식 기와 연구에 중요한 유물로 평가된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태안 청포대 갯벌 발굴조사를 통해 지난 5월 용머리 장식기와 '취두' 상부와 '검파'를 추가로 출토했다고 29일 밝혔다.

취두는 궁궐 등 왕실 관련 건축물 용마루 양쪽 끝에 설치하는 대형 장식기와다. 검파는 취두 상단에 꽂는 칼자루 모양의 토제 장식품이다.

이 유물은 2019년 조개를 캐던 지역 주민이 발견해 신고한 장식기와 하단과 결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6월 연구소가 인근 지역에서 추가 발굴한 또다른 장식기와 유물(상하단)과 쌍을 이루는 것도 확인됐다. 이에 따라 조선 전기 용머리 장식기와의 완전한 형태를 처음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조선왕실 장식기와 완전한 형태 알 수 있는 유물...왜 태안 갯벌서 나왔을까

김연수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장은 "바다 속에서 고려·조선시대의 도자기들이 다량 나오는 것이 특이한 일"이라며 "이번에 조선전기 유물로 추정되는 장식기와가 발견된 것도 굉장히 특이할만한 사안이다. 취두가 정확히 어떤 경로를 통해서 태안 갯벌에서 발견된 것인지는 아직 구체적으로 연구된 게 없다. 빨리 이 유물을 공개함으로써 관련 분야 연구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선시대 유물이 왜 태안 갯벌에서 발굴됐는지에 관련해 김연수 소장은 "서울 용산 일대에서 만들어진 왕실 기와가 지방으로 가던 중 해양 상황으로 물 속에 빠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관련해 수중 탐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서울 용산에 궁궐에 사용하는 기와를 만드는 공영관청 '와서'가 있었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와서는 와장 40명과 잡상장(마루장식기와를 제작하는 전문 공인) 4명으로 구성됐다"고 전했다.


이번 일은 조선시대 왕실 관련 마루장식기와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를 확보하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마루장식기와는 목조건축의 지붕마루에 사용돼 건물을 수호하거나 권위와 미관을 돋보이게 하는 특수기와다. 경복궁 창건기 건물과 숭례문, 양주 회암사지 등 조선 전기 왕실 관련 건축물의 세부 모습에 대한 실질적인 고증이 가능한 유일한 고고자료로도 평가된다.

김동훈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연구관은 "발굴조사로 조선 왕실 궁궐 건축에 있어 장식기와 연구에 중요한 실물을 확보하게 됐다"며 "밀물과 썰물이 오가기 때문에 하루에 3~4시간 정도 집중해서 조사할 수 있었다. 취두는 궁궐·행궁·능원 등에 사용되는 지붕 건축 부재로, 왕실 권위와 건물의 위용을 나타낸다"고 말했다.



김 연구관은 "조선 전기의 취두는 발굴조사 과정에서 파편 일부만 출토됐다"며 중국 명대 정문과 유사한 형태로 추정된다. 경복궁, 회암사지 출토품, 중국 명대 정문의 형태와 유사해 조선 전기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양기홍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연구사는 "경복궁이나 창경궁을 보면 건물들이 임진왜란때 많이 소실됐다"며 "현재 남아있는 자료들, 지붕 위에 올라간 마루장식기와가 모두 조선 후기의 것이다. 조선 전기 실물에 대한 원형이 숭례문에 많이 남아있다고 하는데, 취두에 대한 실물적인 자료가 그동안에는 없었다. 조선 전기의 화려한 마루장식기와가 명확한 형태로 나오게 된 최초의 사례"라고 강조했다.

◆해양문화재연구소, 8월까지 추가 발굴조사·수중탐사

검파는 길이 40.5㎝, 폭 16㎝, 두께 7㎝ 크기의 칼 손잡이 모양이다. 앞뒷면에 2단으로 구름무늬가 표현돼 있고, 취두 상단의 방형 구멍과 결합되도록 짧은 자루도 갖추고 있다. 검파는 빗물이 취두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실용적인 용도로 사용됐다. 취두에 표현된 용이 지붕을 물고 있어 더 이상 용마루를 갉아먹지 말라는 의미도 있다고 전해진다.

이번에 발굴된 구름무늬 검파는 현재 창덕궁·인정문 등 조선 후기 궁궐 지붕의 용머리 장식기와에 일부 남아있는 문양 없는 간략한 막대(棒) 모양 검파와 형태상 차이가 있다. 한 쌍의 취두 하단부에 부조된 용 문양의 표현에서도 갈퀴의 표현 방식과 구렛나루 사이의 돌기 개수 등에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조선 전기만 해도 규격화된 형태의 용 도상을 마련해, 이를 엄격하게 적용했던 결과로 분석된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8월 중순까지 해당지역에 대한 추가 발굴조사와 수중탐사를 진행해 관련 유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로 했다. 취두가 출토된 인근 해역의 고선박 존재와 왕실 장식기와의 생산, 지방으로의 유통에 대한 심층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김성구 전 경주박물관장은 "취두를 비롯한 출토 유물을 일괄해서 보물로 지정해도 손색이 없다"며 "갯벌에 있었기 때문에 유물 보존이 잘 될 수 있었다.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조선 왕실 최고 수준의 장식기와로 평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전충남 / 박미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