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협상 사실상 마무리…내년 연말 또는 2025년 초 착공
도시계획·건축공동위 자문→지구단위계획 수립→결정고시
내년 7월까지 개별건축물·기반시설 등 인허가 절차 진행
복합쇼핑몰인 '더현대 광주'와 특급호텔 등이 들어설 전방·일신방직 부지 개발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29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날 오후 전방·일신방직 공장부지 도시계획 변경 사전협상 조정협의회 제11차 회의를 열어 전방·일신방직 부지 공공기여비율을 54.4%로 결정했다.
이는 도시계획 변경 전·후 토지가치 상승분에 따른 공공기여비율을 의미하는 것이며, 공공기여금액은 총 5899억 원이다.
사실상 사전협상을 마무리 한 것이다. 사전협상제도는 1만㎡ 이상 대규모 시설 이전부지에 대해 도시계획 변경의 타당성과 개발의 공공성·합리성을 확보하기 위해 민간과 공공이 사전에 협의하는 제도를 말한다.
시는 북구 임동 전방·일신방직 부지 29만6340㎡ 내 복합쇼핑몰과 호텔·업무시설·주상복합·공공시설 등을 조건으로 하는 도시계획 변경을 추진했다. 2018년 10월 임동 주민 4238명의 공장 이전 청원과 함께 전문가 합동 TF구성, 시민설명회, 도시계획·건축 공동위원회 자문 등의 절차를 거쳤다.
개발 전제로 ▲공장건축물 보존 기본원칙 준수 ▲시민 삶의 질 향상·도시경쟁력 제고 ▲품격 높고 혁신적인 도시경관·쾌적하고 창의적인 도시공간 구현 ▲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에 따른 계획이익의 사회적 공유와 합리적 배분 등을 기본방향으로 제시했다.
이에 개발업체 휴먼스홀딩스PFV는 지난해 11월 전방·일신방직 부지를 초대형 복합쇼핑타운인 가칭 '챔피언스시티로 개발하겠다'는 내용의 사업제안서를 제출했다.
업체는 제안서를 통해 '챔피언스시티'를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건물·역사문화공원·쇼핑몰 등이 동시에 들어서는 국내 최대·최고 수준의 복합쇼핑타운으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도심 속 또다른 도심을 건설하겠다는 설명이었다. 이에 발맞춰 현대백화점그룹도 복합쇼핑몰 '더현대 광주'를 통해 연간 3000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하겠다는 야심찬 비전을 제시했다.
'챔피언스시티'는 연면적만 50만㎡(주거시설 제외 기준)에 달하며, 쇼핑시설뿐만 아니라 여가·예술·관광 등 각종 문화콘텐츠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타운 시설이다. 시설들은 지상 보행데크와 지하 연결통로라는 순환형 공간을 통해 복합쇼핑타운 내 다양한 콘텐츠 공간들과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챔피언스시티'는 핵심시설로 꼽히는 '더현대 광주'를 비롯해 별도의 랜드마크 건물과 이 건물 내 국제 규모의 특급호텔, 대형 스파(SPA)와 카테고리 전문점 등의 상업시설이 모인 스트리트몰, 프리미엄 영화관, 공동주택단지 등으로 채워진다.
양 측은 지난 해 11월 25일부터 사업계획의 타당성과 공공기여의 범위 등을 놓고 사전협상을 시작했다. 이 과정 속 최대 쟁점인 공공기여비율을 두고 양 측 간 줄다리기가 이어지면서 협상이 답보상태에 머물기도 했다.
하지만 이날 협상에서 공공기여비율의 범위가 확정됨에 따라 부지 개발사업은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협상조정협의회는 전방·일신방직 부지의 도시계획 변경에 따른 공공기여분을 시설별로 차등해 산정했다. 전략시설은 토지가치 상승분의 40~45%, 사업성 확보시설은 60%, 기반시설은 40%를 적용한 것이다.
시는 다음 달 15일 이번 사전협상안에 대한 도시계획·건축공동위원회 자문을 끝으로 협상 절차를 마무리 짓는다. 이어 협상 결과를 반영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한다. 입안과 관계기관 협의, 주민의견 청취, 전략환경영향평가·교통영향평가·재해영향성 검토를 거쳐 도시계획·건축공동위원회의 심의를 받는다. 심의를 통과하면 지구단위계획을 결정·고시한다.
이후 내년 7월까지 개별 건축물과 도로·공원 등 기반시설에 대한 인·허가 절차에 들어간다.
관련 절차를 모두 밟으면 내년 연말 또는 2025년 초 착공한다.
전방·일신방직은 1935년 일본 방직업체가 설립한 공장이 모태로, 1934년 종연방직(가네보방직)으로 출발했다. 해방 이후 정부에서 관리하다 1951년 민간에 불하돼 전방㈜으로 민영화된 뒤 1961년 지분 분할로 일신방직이 추가로 설립됐다. 두 공장은 일제 강점기 조선인 여성노동자에 대한 착취와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여성근로자들의 삶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대표적인 근대산업 문화유산으로 손꼽힌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주 / 장진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