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세계경제전망 유지…정부 전망치 상회 수준
세계경제 3.2%로 0.1%p 높여…견조한 민간소비
"물가상황 적절한 시점에 통화정책 완화 필요"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2.3%로 전망하며 지난 1월 전망치를 유지했다. 세계경제 전망률은 지난 1월 대비 0.1%포인트(p) 상향한 3.2%로 전망했지만 최근 이란-이스라엘 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는 반영되지 않아 향후 전망에서는 하향 가능성을 남겼다.
기획재정부는 16일 IMF가 이 같은 내용의 '4월 세계경제전망(WEO)'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IMF는 연간 4차례 세계 경제 전망을 내놓는다. 1월과 7월에는 주요 30개국 대상으로 수정 전망을, 4월과 10월에는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다.
IMF는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지난 1월 전망과 동일한 수준인 2.3%로 예측했다. 정부(2.2%)와 한국은행(2.1%) 전망치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올해 경제성장률을 2.2%로 전망한 바 있다.
주요 선진국 중에서도 높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은 2.7%로 전망되지만 캐나다가 1.2%, 일본은 0.9%, 프랑스 0.7%, 영국 0.5%, 독일 0.2%에 그친다.
IMF는 물가 하락 및 견조한 민간소비 등에 힘입어 세계경제가 양호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보면서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지난 1월 전망 대비 0.1%p 상향한 3.2%로 전망했다.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와 고금리 등으로 과거 연평균 성장률(3.8%, 2000~2019년)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지난 전망 대비 소폭 상승한 1.7%로 전망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2.7%)은 작년에 기록했던 기대 이상의 성장세를 반영해 지난 전망보다 높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고, 독일(0.2%), 프랑스(0.7%) 등 유럽 국가들의 성장률은 소비 심리 악화 등의 영향으로 하향 조정했다.
일본(0.9%)은 성장세를 이끌었던 외국인 관광 급증 등 일시적 요인이 정상화됨에 따라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중국, 인도, 러시아 등 신흥개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4.2%를 기록했다. 중국(4.6%)의 성장률은 부동산 시장 약세 지속 등으로 작년보다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러시아(3.2%)에 대해서는 지난 1월 전망 대비 성장률을 상향 조정했는데 이는 국방 지출 및 민간소비 확대 등을 이유로 설명했다.
IMF는 올해 경제성장률에 대해 상·하방 요인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전세계적으로 선거의 해(Great Election Year)를 맞아 각 국의 재정부양 확대, 조기 금리 인하, 인공지능(AI) 발전에 따른 생산성 향상, 성공적인 구조개혁 추진 등을 성장률을 높일 상방 요인으로 제시했다.
반면 지정학적 갈등 확산, 고금리 기조 속 높은 부채 수준, 중국의 경기둔화 등을 성장률을 제약할 우려가 있는 하방 요인으로 제시했다.
아울러 IMF는 조급한 통화정책 완화를 경계하며 국가별 물가 상황에 따라 적절한 시점에 통화정책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미래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재정 여력을 확충하고, 공급 측면 개혁을 통한 중장기 생산성 향상과 함께 녹색 전환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력을 제고해 나갈 것을 회원국들에 권고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제 / 박옥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