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장애인부모연대, 2024 특수교육 정책 토론회
"자기선택·소통방식 인정으로 장애학생 삶 개선"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광주 지역 부모들과 특수교육 종사자들이 모여 교육 현장에서 이뤄지는 특수 교육을 점검하고 개선책을 논의하는 토론회를 열었다.
광주장애인부모연대는 2일 오전 광주 서구 5·18교육관에서 2024 특수교육 정책 토론회 '학교 밖으로 내몰리는 장애 학생 무엇이 문제인가'를 열었다.
토론회는 발달장애인 교육시설을 운영하는 관리자와 교사, 자녀를 둔 학부모들에게 듣는 현황을 토대로 특수 교육 현장이 개선돼야 한다는 취지로 열렸다.
발제에 나선 황승욱 KTIL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 정책실장은 특수교육이 발달장애 개별학생의 삶에 보다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발달장애 학생들이 12년 학령기 시기에 겪어야 할 것으로 ▲자기선택·자기결정 경험 ▲자신의 소통방식 인정 ▲지역 공동체 참여를 꼽았다.
발달장애 학생들이 해당 경험들을 토대로 공감 능력을 배우고 호기심을 충족시켜 나갈 수 있다며 삶의 의미를 채울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발달장애 학생들도 사회 한 일원이니 이들도 최소한의 교과 지식을 갖춰야한다는 주장도 있다"며 "그러나 이는 일반교육에서 요구하는 학교 중심 수업이면서 발달장애 학생 개인의 삶을 외면하는 것과 같다. 발달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는 학교 교육 과정 수준을 낮추고 범위를 작게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 과정에서는 현행 특수교육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을 촉구하는 발표도 이어졌다.
박소영 전 특수교사는 중증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특수교육 대안이 없다는 점을 지적, 이들 사이에서 불거지는 도전 행동을 분석하고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전행동은 발달장애인이 자신 또는 타인에게 위협적인 상황을 만들거나 해를 가하는 행동을 뜻한다.
과거에는 이를 개인의 문제로 간주해 장애학생들을 치료 또는 교정 대상자로 여겨 낙인을 찍는 결과를 낳았다. 최근에서야 도전 행동이 개인의 문제가 아니 특수교육 지원 결함에 따른 결과로 인식돼 관련 환경 영향력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관련 자료를 인용한 그는 충분한 지원체계를 갖추지 않은 채 발달장애학생이 통합교육에 맞춰야 한다고 접근하고 있다면서 학대 또는 문제행동을 논하기 전에 교육 현장에서 정당한 편의 지원이 이뤄지고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교과중심 교육과정에서도 발달장애 학생들이 개념 이해와 같은 지식 습득, 이를 삶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해결책 마련을 요구하기도 했다.
박 교사는 "특수교육은 학생들의 선택권이 확보되지 않은 교사 중심 교육과정에 가깝다. 장애학생들에게 당장 필요한 교육적 요구가 교사 눈에 들어와야 한다"며 "장애 학생들의 특별한 요구를 찾지 못하면 특수 교육은 단지 수준 낮은 일반 교육에 머무를 수 있다"고 경계했다.
그러면서 "교육당국은 장애학생 개별화교육계획을 전면 수정, 학생들이 누리는 '현재의 삶'을 바탕으로 해야한다"며 "생활 중심 교육 과정을 도입하고 감정과 소통을 지원하는 교육을 확대해야한다"고도 촉구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주 / 장진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