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8개 대학, 공간혁신 본격…반도체 연구실·AI 대학 짓는다

서울시, 용적률·높이 인센티브로 미래 혁신공간 마련
고대·연대, 반도체 등 부족한 연구실·실험실 공간 확보
서강대, 성대, 중앙대 등 AI 대학 등 첨단시설 신·증축

서울 시내 8개 대학이 첨단시설 확보를 위한 건물 신증축, 혁신캠퍼스 설계 등 본격적인 공간구조 개선에 나섰다. 대학 용적률과 높이 규제를 완화하는 서울시의 '대학공간혁신 방안' 추진에 따른 것이다.


▲ 연세대 제5공학관 조감도.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13일 오후 2시 홍익대 잔다리홀에서 '대학에 혁신을 더하다, 서울의 미래와 만나다'라는 슬로건 하에 대학의 공간혁신 사례를 공유하는 발표회를 개최한다. 발표회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상명대 총장인 홍성태 서울총장포럼 회장을 비롯해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세종대, 이화여대, 연세대, 중앙대, 홍익대 등 8개 대학 총장 등 80여 명이 참석한다.

시는 지난해 12월 용적률이 꽉 차 공간 확보가 어려웠던 대학들을 위해 '도시계획 지원방안'을 발표한 데 이어 서울시 도시계획조례를 개정해 지난 7월부터 대학 공간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서울 시내 대학은 주변으로 확장이 힘든데다, 54개 대학 중 14개는 용적률 80% 이상을 사용해 더 이상 증축이 어려운 상황이다. 신산업 진출과 반도체 등 미래 핵심인재 양성을 위해 관련 학과 증설이 필요한데도, 대학 내 공간이 부족해 난관에 부딪히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시는 각 대학이 창업 공간과 산학협력 공간 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조례 개정을 통해 용적률을 1.2배까지 완화하는 '혁신성장구역(시설)'을 도입하고, 자연경관지구 내 대학시설의 높이 제한을 없앴다. 각 대학은 이에 맞춰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 등 공간혁신을 위한 기본구상안을 마련해왔다.

고려대와 연세대는 그간 필요했던 강의 공간과 연구실, 실험실 등 부족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당초 7층까지의 건축계획을 10층으로 변경했다.

고려대는 정운오 IT교양관에 반도체 공학과와 스마트모빌리티 학부 등을 신설하고, 연세대는 반도체클린룸과 연구실험실을 충분히 확보하게 됐다. 연세대는 지난 11월 세부 시설 조성계획 변경 결정 고시를 완료했다. 고려대는 지난 6일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이달 중 결정 고시 예정이다.


서강대·성균관대·세종대·이화여대·중앙대는 AI 대학, 산학벨트 등 첨단시설 확보를 위한 신·증축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혁신 캠퍼스 조성을 위한 도시계획 변경을 준비 중으로 올해까지 기본구상을 마치고 내년부터 기본 설계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서강대는 학생창의연구관과 신과학관을 신축해 스타트업스페이스와 AI·SW 창작교육센터 건립계획 수립 중이다. 성균관대는 허브스퀘어를 건립하고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첨단 융합학문을 포함한 캠퍼스 마스터플랜을 세우고 있다.


▲ 서강대 지덕체융합관 투시도. (사진=서울시 제공).

세종대는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AI로봇학과, 우주공학드론학부, 지능형드론융합전공과 신설을 위한 애지헌 건립 기본계획 수립 중이다.

이화여대는 인공지능학과, 융합연구센터, 기업연계 연구소 건립을 위한 생활환경관 신축을 위한 설계용역 입찰을 완료했다. 중앙대는 AI SW학과와 반도체학과, 다목적홀(공연,전시,도서관) 건립을 위한 205관 신축 기본 설계 중이다.

이미 용적률이 꽉 찬 홍익대의 경우에는 혁신성장구역을 도입해 새로운 혁신캠퍼스를 짓는다. 홍익대는 국제현상설계 지명공모를 통해 혁신적인 캠퍼스 설계안을 제시한 네덜란드의 OMA(대표건축가 렘 콜하스)를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홍익대의 혁신성장 캠퍼스 기본구상안은 현대미술관, 아트센터, 첨단공학센터와 산학협력공간·지역 기여시설로 구성하는 공간을 연결시키고, 홍대 주변 지역의 문화, 산업, 학문과의 연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제안하고 있다.

홍익대는 최근 교육·창업지원·전시 등 복합용도 공간인 '아트앤디자인밸리' 건립도 완료했다. 대학 경계부의 옹벽과 담장을 철거해 지역과의 경계를 허물고, 그 자리에 조성한 창업공간을 개방하면서 대학과 지역이 상생하는 새 명소로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다.

시는 공간혁신을 추진하는 대학들이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사전 기획 단계에서부터 도시계획 컨설팅을 추진하고, 대학 부설주차장 설치 기준과 환경영향평가 절차 등 인허가 과정에서의 기준을 현실화하는 방안도 추가 검토할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 사업실행 단계에서의 혁신 방안도 후속 발표할 방침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 자리를 계기로 더 많은 대학이 저마다의 특성을 살려서 창의적인 핵심 역량을 최대한 끌어 올릴 수 있는 공간혁신을 실현할 수 있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대학의 혁신이 곧 도시의 혁신을 도모할 핵심 엔진이 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임정기 서울본부장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