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손님 없어서 9시에 마감"
"1시간 연장해도 매출 상승 없어"
"하루빨리 마음껏 장사하고 싶어"
"시간 제한 그만, 자율에 맡길 때"
"밤 10시 홍대입구역 점등 시위"
정부가 식당·카페 등의 영업시간을 오후 10시로 1시간 연장하는 완화된 거리두기 지침을 내놨지만 21일 대부분의 자영업자들은 효과가 없다고 토로했다. 일부 가게는 손님이 늘어나긴 했지만 1년 반이 넘는 기간 영업제한 조치로 인해 고통받는 자영업자의 숨통이 트이기엔 역부족인 모습이다.
지난 1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유흥시설' 등 1그룹과 식당·카페 등 2그룹의 운영시간을 오후 9시에서 오후 10시로 연장했다. 사적모임은 그대로 6인을 유지하는 이번 조치는 오는 3월13일까지 3주간 시행된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깊어가는 민생경제의 어려움을 고려해 방역·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최소한의 조정은 불가피하다"고 취지를 전했지만, 자영업자들은 "다른 방역 정책은 다 완화하면서 왜 자영업자의 영업시간만 제한하냐"고 입을 모았다.
서울 종로구 광화문역 인근의 한 식당 직원은 "1시간 연장됐지만 주말 내내 손님이 워낙 없어서 사장님이 그냥 9시에 마감하라고 하셨다"며 "확진자도 너무 많이 나와 불안하고, 밤에 술 마시는 손님이 거의 없다. 재택근무하는 직장인이 많은지 점심에도 손님이 없다"고 전했다.
서울 마포구 공덕역 근처 식당 주인도 "한 손님이 말해줘서 1시간 연장된 걸 알았다. 근데 그 손님 빼고는 9시 이후로 손님이 없었다"며 "1시간 연장해 봤자 몇 팀이나 더 받겠나. 그리고 요새는 거리에 사람도 없다"고 토로했다.
자영업자·소상공인 소통 카페 이용자들 사이에선 "왜 이렇게 조용하지…오늘부터 10시 맞죠?", "7시30분에 다 나가시고 아무도 없어서 문 닫았다. (영업시간) 1시간 늘어서 집에 늦게 갈 줄 알았는데", "10시로 제한하면 오미크론 확산 막을 수 있나. 이미 일일 확진자 10만명 넘은 시점이면 다른 대안을 마련해야 하는 것 아닌가" 등의 반응이 나왔다.
이창호 전국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 공동대표는 "영업시간을 1시간 연장해도 매출은 갑자기 오르지 않는다. 9시 전에 왔던 손님이 좀 더 앉아있다 가는 수준"이라며 "정부는 확진자 동선 파악이나 재택 치료를 셀프로 하게 하는 등 방역 정책을 완화하고 있는데, 유독 영업시간만 제한하며 늘어지고 있다. 17개월 동안 영업시간 제한했는데 확진자 폭증 막지 못했으면 이제 자율과 책임에 기반한 방역으로 넘어갈 때가 되지 않았나"라고 지적했다.
오호석 코로나 피해 자영업 총연합(코자총) 공동대표도 "영업시간을 제한한지 1년 반이 지났고, IMF보다 힘들다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들린다"며 "식사나 1차를 마친 시간은 보통 8시에서 8시30분이고, 9시쯤 2차로 이동할 텐데 상식적으로 1시간 늦춘다고 큰 변화가 있겠나. 9시 전에 들어온 손님이 조금 더 여유롭게 있다 가는 수준"이라고 전했다.
영업시간이 늘어나면서 손님이 늘었다는 자영업자도 있었다. 서대문구의 한 식당 직원은 "저녁 8시, 9시에 손님이 좀 있는 편이라서 영업시간이 1시간 늘고 손님도 조금 늘었다"고 말했다. 자영업자·소상공인 소통 카페의 한 이용자도 "10시 첫날인데 가게에 손님이 많다"며 "9시였으면 손님이 뚝 끊기는 시간인데 드문드문 계속 들어온다. 1시간이나마 도움이 되는 듯하다. 빨리 마음껏 장사하고 싶다"고 전했다.
한편 코자총은 정부의 영업시간 제한 고수에 반발해 이날 오후 10시부터 홍대입구역 일대에서 회원업소 전체 점등 시위를 벌일 예정이다.
한국외식업중앙회와 한국유흥음식업중앙회 등 14개 소상공인 단체로 구성된 코자총은 입장문을 통해 "정부 방역당국은 자영업자의 생존권을 말살하는 '확진자 중심'의 코로나 방역관리 체계를 폐지하고 '중증 환자 중심'의 방역체계로 당장 전환해야 할 것"이라며 "이 길만이 백척간두에 서 있는 자영업자들의 생존권을 보장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무조건 영업시간제한 철폐와 자영업자의 실질적인 손실보상 100% 지급을 요구했다. 요구사항이 지켜질 때까지 '촛불문화행사'를 전국 단위에서 시행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회부 차장 / 곽상현 기자 다른기사보기